장발장이 살아간 시대, 그가 살아남기 위해 빵 하나를 훔쳐 19년의 세월을 감옥에서 보내야 했던 그 시절. 이건 단순한 소설 속 이야기가 아니에요. 실제 19세기 프랑스 민중의 삶은 이보다 나았다고 말하기 힘들 정도로 참혹했답니다. 그 시대 사람들은 왜 그렇게 자주 혁명이라는 선택을 했을까요? 오늘은 '레미제라블' 을 배경 삼아, 프랑스 민중의 투쟁과 그 시대의 흐름을 쉽고 친절하게 풀어드릴게요.
레미제라블의 시대
소설 레미제라블은 1832년 파리의 ‘6월 봉기’를 배경으로 해요. 이 봉기는 우리가 잘 아는 대혁명(1789년)이나 왕을 바꾼 7월 혁명(1830년) 이후에도 민중이 왜 또다시 거리로 나섰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에요.
7월 혁명으로 루이 필리프라는 새로운 왕이 즉위했지만, 민중들이 바란 진정한 자유와 평등은 오지 않았어요. 여전히 가난했고, 여전히 정치에서 배제당했고, 심지어 콜레라로 수만 명이 죽어나가는 데도 정부는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죠. 그래서 사람들은 다시 외쳤어요.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계속된 혁명, 이유?
프랑스에서는 1789년부터 1848년까지, 거의 60년 동안 네 차례의 큰 정치적 움직임이 있었어요. 하나씩 쉽게 정리해볼게요.
- 1789년 대혁명: 절대왕정과 신분제를 무너뜨리고 ‘자유·평등·인권’이라는 현대 민주주의의 기초를 세운 혁명이었어요. 하지만 귀족과 성직자의 특권을 없애려는 민중의 분노가 아주 컸고, 그만큼 사회가 격렬하게 흔들렸죠.
- 1830년 7월 혁명: 샤를 10세가 물러나고 루이 필리프가 왕이 되었어요. 하지만 이건 민중이 아닌 ‘부르주아(중산층)’의 승리였어요. 이 사람들은 상공업자, 자영업자, 전문직 등 당시 사회의 주도권을 쥐고 있었죠. 결과적으로, 왕만 바뀌었지 민중의 삶은 변하지 않았어요.
- 1832년 6월 봉기: 바로 '레미제라블' 속 배경이에요. 콜레라로 많은 사람이 죽고, 정치적 무력감이 커지면서 민중은 다시 바리케이드를 쌓았어요. 하지만 이틀 만에 진압됐고, 800명이 넘는 사람이 목숨을 잃었어요.
- 1848년 2월 혁명: 드디어 보통선거가 도입되고 제2공화정이 시작돼요. 이건 프랑스 민주주의 역사에서 아주 큰 진전이었죠. 민중의 끈질긴 싸움 끝에 얻은 변화였어요.
부르주아 누구?
쉽게 말해, 귀족은 아니지만 돈과 지식이 있었던 사람들이에요. 상인, 변호사, 의사, 출판업자처럼 도시에서 자립적으로 살던 중산층이었죠. 1830년 이후 이들이 정치와 경제의 주인이 되었고, 그만큼 사회 전체를 자신들 위주로 운영하려 했어요.
문제는 그 과정에서 노동자, 농민, 빈민 같은 하층민은 여전히 소외되었다는 거예요. 선거권도 없고, 굶주림과 병에 시달리면서도 목소리를 낼 수 없는 현실. 이것이 민중이 다시 거리로 나설 수밖에 없었던 배경이에요.
장발장은 가난한 조카를 위해 빵 하나 훔쳤다가 감옥살이를 시작해요. 법은 냉정했고, 탈옥을 반복하면서 형량은 늘어나요. 무려 19년의 형을 살게 되죠. 그가 감옥에서 나오고도 사회는 그를 받아들이지 않아요. 단 한 번의 실수로 낙인찍히고, 평생 죄인으로 살아야 했던 거예요.
자베르 경감은 ‘법이 곧 정의’라고 믿고 장발장을 끝까지 쫓지만, 마지막엔 그 믿음에 혼란을 느끼고 극단적 선택을 해요. 이 장면은, ‘법과 정의’의 의미가 반드시 같지는 않다는 질문을 던져요.
혁명은 꼭 필요한가?
이건 간단한 질문이 아니에요. 하지만 분명한 건 있어요. 자신의 권리를 그냥 얻는 경우는 거의 없고, 늘 누군가의 싸움과 희생이 있었다는 사실이에요. 프랑스 민중은 굶주림과 차별, 침묵을 강요받는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 바리케이드를 세우고, 목소리를 내고, 때로는 목숨을 걸었어요.
비록 1832년 6월 봉기는 실패했지만, 그 실패는 또 다른 변화를 만들어냈고 결국 1848년에는 보통선거라는 결과로 이어졌어요. ‘정치란 민중의 고통에 귀 기울이는 것’이라는 교훈도 함께 남겼고요.
마무리 하며
레미제라블은 단지 한 사람의 이야기라기보다, 전체 민중의 삶을 담은 거울 같아요. 그 속에서 우리는 장발장의 용기, 코제트를 향한 사랑, 마리우스를 구한 희생, 그리고 자베르의 갈등 속에서 인간의 복잡한 정의와 신념을 보게 돼요.
그리고 그것이 오늘날 우리에게 이렇게 묻는 것 같아요. “당신은 무엇을 위해 목소리를 낼 준비가 되어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