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산 버리는 법, 제대로 알고 실천하기

by 하루픽픽 2025. 4. 23.

비 오는 날마다 망가진 우산이 쌓여갑니다. 그런데, 막상 버리려 할 때는 “이거 그냥 버려도 되나?” 싶은 순간이 오죠. 우산은 비닐, 철,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이 섞인 복합 제품이라 분리배출이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정확하고 안전하게 우산을 버리는 방법을 정리해드립니다.

 

 

우산 버리는 법, 제대로 알고 실천하기
우산 버리는 법, 제대로 알고 실천하기

 

 

우산, 왜 분리수거가 어려울까?

우산은 단일 재질이 아니라 여러 소재가 혼합되어 있습니다.

  • 우산천: 합성섬유 또는 비닐
  • 살대와 우산대: 철 또는 알루미늄
  • 손잡이: 대부분 플라스틱

이런 구조 때문에 ‘재질별 분리’가 원칙이지만, 실제로는 쉽지 않죠. 특히 유리섬유(파이버글라스)가 들어간 우산은 자칫 손을 다칠 수도 있습니다.   다들 비슷한 생각을 하기 때문에, 재활용 버리는데 가보면 일반적으로 깡통 버리는 곳에 우산이 들어와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그렇지만, 분명 비닐도 다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깡통 재활용쪽에 있는것도 딱히 맞는 것 같지는 않아보이고요.  항상 좀 찜찜한 면이 있어서 우산 분리수거에 대해서 궁금하게 생각했습니다.

 

우산 버리는 공식 가이드

1. 분리가 가능한 경우

  • 우산천: 비닐이나 천은 일반쓰레기로, 종량제 봉투에 버립니다.
  • 우산대: 철이나 알루미늄은 캔류(고철)로, 지역에 따라 분리수거 가능합니다.
  • 손잡이: 이물질이 없는 경우 플라스틱류로 분리배출 가능.

2. 분해가 어렵거나 위험한 경우

  • 분해가 어렵다면 전체를 일반쓰레기(종량제 봉투)로 버려도 됩니다.
  • 자동우산처럼 펼쳐질 위험이 있는 제품은 끈이나 테이프로 고정 후 넣어주세요.

3. 크기가 너무 클 경우

  • 종량제 봉투에 들어가지 않는 대형 우산은 대형생활폐기물로 신고해야 합니다.
  • 구청·주민센터 홈페이지에서 스티커 구매 후 부착해 지정 장소에 배출.

 

우산 분리배출, 요약 정리

우산 구성 배출 방법
우산천 (비닐, 천) 일반쓰레기 (종량제 봉투)
우산살/우산대 (철, 알루미늄) 캔류 (고철 분리수거 - 지역별 상이)
손잡이 (플라스틱) 플라스틱류 (깨끗이 분리 시)
전체 분해 어려움 그냥 종량제 봉투에 배출
대형 우산 대형생활폐기물로 신고 배출

 

알아두면 좋은 실전 팁

  • 분리수거보다 안전이 우선! 손 다칠 위험 있다면 무리하지 마세요.
  • 폐기 후 처리: 소각 후 남은 철류는 소각장 자력선별기에서 다시 수거됩니다.
  • 우산 회수함 활용: 일부 마트나 지자체에선 우산 수거 캠페인을 진행 중입니다.
  • 무단투기 금지: 길거리에 방치하면 과태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우산은 분리배출이 원칙이지만, 구조가 복잡하거나 위험할 경우엔 통째로 종량제 봉투에 버려도 됩니다. 대형일 경우엔 반드시 대형 폐기물로 신고해 주세요. 환경도 지키고, 내 지갑도 지키는 작은 실천!

 

원론적으론, 역시 비닐과 철제를 분리해서 버리는 것입니다. 만약 힘들다면, 재활용 봉투에 넣어서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지역별 배출 기준은 지자체에 따라 상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