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6

영화 메멘토 크리스토퍼 놀란 역작, 기억과 시간을 거꾸로 체험하다 여러분은 혹시, 어떤 일을 잊고 싶지 않아 매일 메모를 남기거나 사진을 찍어본 적 있으신가요? 영화 메멘토(Memento)는 그런 '기억'의 불안정함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이 만든 이 영화는 '시간과 기억'이라는 주제를 아주 특별한 방식으로 풀어냅니다. 오래전에 써 놓은 메모장을 본적있는데요, 지금까지 기억했던 일과 좀 다르더군요. 사람은 시간이 지나면 자신이 기억하고 싶은것만 기억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잊고 싶은 것은 잊고요. 영화 메멘토에서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하는것은, 기억은 의도적으로 삭제할 수도 있고, 무의식적으로 편집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지금 우리가 기억하는 것이, 또는 다른 사람이 굳게 믿고 있는 진실이 거짓일 있다는 것이죠. 왜 그.. 2025. 5. 10.
위대한 쇼맨 줄거리 실존인물 바넘 괴짜 서커스단 혹시 지금, 남들이 정해놓은 기준에 갇혀 주저앉고 있진 않으신가요? 오늘 소개해드릴 영화 위대한 쇼맨은 그런 틀을 깨고, 세상에 나만의 무대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괴짜 같고, 기괴해 보일지 몰라도… 그들만의 색으로 세상을 놀라게 했던 진짜 위대한 쇼 말이죠. 남다른 생각을 세상에 구체화시켜서 증명하고 싶을때, 용기를 재충전하고 싶을 때 보고 싶은 영화입니다. 위대한 쇼맨 줄거리 요약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난 피.티. 바넘은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하지만, 여전히 가진 것이 없는 인생을 살아갑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남들과 다른’ 외모를 가진 사람들을 모아 서커스 공연을 시작합니다. 수염 난 여인, 난장이, 거인, 문신으로 뒤덮인 남자… 세상이 손가락질하던 그들을 모아 “너희는 틀린 게.. 2025. 5. 10.
인도영화 세얼간이 줄거리 정체성 란초의 비밀 기분이 가라앉고, 자꾸 용기가 사라질 때 꺼내보는 영화가 있습니다. 바로 인도 영화 세 얼간이입니다. 수없이 반복해 봤지만, 볼 때마다 가슴이 먹먹하고, 끝내 가슴이 벅차오르는 그런 영화죠. 저는 세명의 얼간이 중에서 란초를 가장 좋아합니다. 그에게 공감가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자신이 원하는것을, 자신의 스타일대로 살아가는 것. 그렇지만, 란초에게는 비밀이 있었다는 것. 자, 시작해볼게요. 세 얼간이 줄거리 자세히 알아보기인도 최고의 명문 공대 ICE에 입학한 세 친구, 란초, 파르한, 라주의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모두 부모님의 기대를 안고 입학했지만, 각자의 마음은 불안투성이죠. 란초는 입시를 위해 공부한 게 아니라 진짜 배우고 싶어서 온 학생입니다. 하지만 파르한은 사진작가의 꿈을 포기한.. 2025. 5. 10.
존 내쉬 게임이론 영화 뷰티풀 마인드 조현병 증상 영화 뷰티풀 마인드를 처음 봤을 때, 누구나 이렇게 생각했을 겁니다. “오, 꽤 박진감 넘치는 스릴러구나!” 차량 추격신, 비밀 요원의 등장, 스파이 본부, 숨 막히는 총격전까지. 마치 첩보영화를 보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만들죠. 이 영화는 박진감 넘치는 스릴러물이라 생각하기 딱 좋은 영화죠. 그렇지만, 이 영화는 중반이후 엄청난 반전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스포가 될 수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진짜 스릴러는 스파이전이 아니었다하지만 영화가 중반을 넘어서면서 관객은 갑자기 혼란에 빠지게 됩니다. 주인공 존 내쉬가 아무도 없는 빈터에서 소리를 지르고,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누기 시작하거든요. 그 장면에서 우리는 문득 멈칫하게 됩니다. “뭐지? 진짜 스파이전이었나? 아니면... 이 모든 게 그의 착각인.. 2025. 5. 9.
영화 인터스텔라 블랙홀, 일반상대성이론 중력시간지연 영화 인터스텔라를 보면 블랙홀 옆 행성에서 몇 시간을 보내는 동안 지구에서는 수십 년이 흐르는 장면이 나옵니다. 단순한 영화적 상상일까요? 아니면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랙홀 주변에서 실제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현재 과학이 어디까지 밝혀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블랙홀 주변 시공간 왜곡과 시간 지연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블랙홀처럼 중력이 매우 강한 곳에서는 공간뿐 아니라 시간 자체도 휘어집니다. 이것을 중력 시간 지연(Gravitational Time Dilation)이라고 부르며, 실제로 블랙홀에 가까워질수록 시간의 흐름이 멀리 떨어진 곳에 비해 매우 느려지게 됩니다. 이 현상을 비유하자면, 평평한 고무 매트 위에 볼링공을 올려놓은 것과 같습니다. 볼링공 주변으.. 2025. 5. 9.
영화 뷰티풀 마인드 리뷰, 프린스턴 대학 수학천재 존 내쉬 조현병 1947년 프린스턴 대학, 수학 천재 존 내쉬는 누구보다 뛰어난 머리를 가졌지만, 세상과 소통하는 데는 서툽니다. 그는 명문대의 박수보다, 누군가 이미 만든 이론보다, 자신만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갈망합니다. 영화 는 이 천재의 독특한 사고방식, 그리고 조현병이라는 복잡한 내면의 세계를 따라가며, 결국 자신만의 목소리로 살아가는 한 인간의 삶을 보여줍니다. 천재의 고독, 그리고 세상과의 거리감내쉬는 일반적인 의미의 ‘사교성’과는 거리가 멉니다. 그는 인정욕구보다 탐구욕이 강했고, 정답을 외우기보다 세상의 원리를 새롭게 보고 싶어 했습니다. 그가 “출석도 안 하고 논문도 안 쓰는 학생”이라는 비난을 받던 장면은, 그가 얼마나 기존 시스템과 어긋나 있었는지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그 거리감 덕분에 그.. 2025.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