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트루먼 쇼 뜻, 가스라이팅 뜻 교활한 위선자 대응하기
트루먼쇼를 보면서, 그가 살아왔던 삶이 가짜라는 것을 깨달았을 때 받았을 충격, 허탈함을 생각해본다. 얼마나 황당했을까. 참 고약스럽네. 가만 생각해보면, 우리네 세상살이도 비슷한 구석이 있어서 씁쓸하다. 이게 무슨 소리냐면,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상황을 조작하고, 자신의 속마음을 숨기는 교활한 위선자들 역시 트루먼쇼를 제작한 방송국 사람들과 다르지 않다는 뜻이다. 난 이런 상황을 가스라이팅이라 생각한다. 가스라이팅과 자유의지, 용기있는 도전난 트루먼이 겪는 일이 전형적인 가스라이팅이라 생각한다. 타인의 생각,의식,믿음을 조작하는 것은 극악한 일이다. 트루먼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의지라고 믿었던 것들이 사실은 조작이라는 것을 깨닫기 위해서는 질문을 했어야 한다. 그렇지만, 그게 어디 쉬운가. 생..
2025. 5. 15.
조현병 증상 영화 정신분열 큐레이션 TOP 3
조현병은 현실 인식 단절, 환각(특히 환청), 망상, 사고와 행동의 이상, 감정 표현의 둔화, 동기 저하 등 다양한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정신질환입니다. 이 질환의 복잡성과 내면의 마음을 가장 생생하게 보여주는 세 편의 영화를 통해, 조현병의 증상과 그 심리적·뇌과학적 배경을 깊이 있게 탐구해봅니다. 1. 셔터 아일랜드(Shutter Island), 망상과 집단적 연극 치료영화 셔터 아일랜드의 주인공 테디 다니엘스는 조현병 환자로, 극심한 망상과 환각에 시달립니다. 그는 자신이 연방 보안관이며, 실종된 환자를 찾기 위해 섬에 왔다고 믿지만, 실상은 자신의 가족을 잃은 충격으로 인해 현실을 부정하고 허구의 인생을 살아갑니다. 우리는 여기서 극심한 충격이 정신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음을 확인하..
2025. 5. 15.
영화 벌새 줄거리, 한국사회 집단주의 개인주의 남녀차별 권위주의 장자우선
영화 벌새를 중학교 소녀의 성장기 정도로 보는 영화평이 많지만, 영화는 한국사회의 권위주의, 집단문화, 남녀차별 등 다양한 심리적 억압,차별을 당해온 한 연약한 사회적 약자의 몸부림을 영상화한 것입니다. 영화는 묻습니다. 2025년 한국사회는 1990년대와 얼마큼 달라졌는가라고. 우리는 이제 새로운 관점에서 영화를 보려고 합니다. 1. 영화 벌새 줄거리1994년 서울 대치동. 중학교 2학년 은희는 방앗간을 운영하는 부모님, 언니, 오빠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가족들은 각자 바쁘고, 은희는 집안에서조차 소외감을 느낍니다. 오빠의 폭력, 엄마의 무관심, 아빠의 권위적인 태도, 그리고 공부로 줄 세워지는 학교의 압박 속에서 은희는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받지 못합니다. 자! 여기서 은희가 그 어느곳에서..
2025. 5. 15.